식용달팽이 개요 > 건강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식용달팽이 개요 > 건강이야기
식용달팽이 개요 > 건강이야기
건강이야기

식용달팽이 개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웹 작성일20-06-09 17:38 조회1,682회 댓글0건

본문

식용달팽이 개요

 

분 류 : 병안목 달팽이과
종 수 : 약 2만종(세계)
크 기 : 0.1~38cm
생 식 : 자웅동체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등 온대와 열대 지방

달팽이(영어: Snail; 학명: Eulota Peliomphala Pfr.)는 나선형 또는 원뿔형 껍데기를 가지고 있으며, 몸을 보호하기 위해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인, 움직임이 느린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건조한 지역에는 껍데기가 없는 민달팽이는 살아갈 수 없다. 민달팽이와 달팽이는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 물질은 기어 다니는 동안에 피부가 벗겨지는 상처를 입지 않게 해주는 보호역할을 해준다.

암수 한몸(자웅동체)으로 머리가 뚜렷하고 발은 넓고 편평하며 몸 전체의 신축성이 매우 크다. 머리에는 2쌍의 더듬이가 있는데 큰더듬이의 끝에는 눈이 있다. 몸에서는 점액이 분비된다.

껍데기는 낮은 편이고 얄팍하며 표면에 나사모양의 줄무늬가 있다. 야간이나 비가 오는 낮에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활동한다. 활동할 때는 껍데기에서 나와 이것을 등에 진 채 기어다니며, 풀이나 나뭇잎을 먹는다.

달팽이는 네 뿔이 있는데 두 뿔과 비슷하다고 하며 길다란 한 쌍은 명암을 구별할 수 있고 작은 한 쌍은 맛과 냄새를 식별한다고 한다. 달팽이는 들이나 어둡고 습한 곳에서 많이 발견된다. 습기와 함께 토양 중에 칼슘이 많은 석회암 지역에서 다량 서식한다. 달팽이는 건조하면 체내 수분이 너무 방출되어 죽게 되고 자신의 패각(껍질)과 알을 싸고 있는 석회질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달팽이는 전세계적으로 약 20,000여종이 있으며 껍질이 없는 달팽이가 정력강장제로는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꿈에 달팽이가 기어가면 기다리던 일이 이루어진다는 속신이 있으며, 세상이 좁다는 것을 비유할 때는 ‘와우각상(蝸牛角上)’이라고 한다. 또한, 작은 나라들이 하찮은 일로 다투는 것을 ‘와각지쟁(蝸角之爭)’이라 하고, 작은 집을 ‘와려(蝸廬)’ 또는 ‘와사(蝸舍)’라고 한다. 한편,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말을 ‘달팽이가 바다를 건너다닌다.’라고 하고, 핀잔을 받고 겁먹은 표정을 가리켜 ‘달팽이 눈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입을 꼭 다물고 말이 없을 때 ‘달팽이 뚜껑 덮는다.’라는 말을 쓰며, 누가 건드려야 화를 내거나 움직일 때 ‘달팽이도 밟아야 꿈틀한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배꼽달팽이, 왼돌이달팽이, 참달팽이, 각시달팽이 등 35여 종이 알려져 있다고 한다.

달팽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달처럼 둥글고 팽이처럼 생긴 모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달팽이의 다른 이름은 와우(蝸牛: 명의별록), 복루(僕累: 산해경), 소우라(小牛螺, 황독:黃犢: 삼창), 부영(??, 와유:蝸?: 이아), 와영(蝸?, 라영:螺?: 설문), 려영(??: 광아), 능라(陵螺: 최표, 고금주), 산와(山蝸, 과우:瓜牛: 도홍경), 려우(?牛: 약성론), 부각연유(負殼??: 일화자제가본초), 해양(海羊: 선전외과집험방), 연유영(???, 토우아:土牛兒: 본초강목), 천라(天螺: 육천본초), 원라충(圓螺?: 생초약수책), 천라사(天螺?: 사천중약지), 무염라(無?螺, 기모라:肌母螺: 천주본초), 부각활유(負殼(??: 동의보감), 껍질을 짊어진 활유(??), 달팽이, 샵벨룰(히브리어), 스네일(Snail: 영어), 카타츠무리(かたつむり: 일본어), 전라. 경상. 황해. 평안도 지방에서는 달파니, 경북. 강원도 에서는 들판이 또는 들팽이, 경북지방에서는 하마고딩이 등으로 부른다.
달팽이의 껍질도 와우각(蝸牛殼)이라고 하여 약용한다.

발췌 :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출처] 식용달팽이 개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